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케팅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BCG matrix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사가 망하지 않고 끝까지 생존하기 위해서는 핵심사업을 통해 원활한 현금흐름을 구축하고 전략사업에 적극 투자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합니다. 전략사업이 궤도에 올라 돈을 벌고 나아가 시장에서 먹히고 있는 유망한 아이템으로 발전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시나리오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뛰어들어 경쟁이 심화되어 성장이 둔화된다면 점차 핵심사업으로 내려옵니다. 그리고 회사는 새로운 전략사업을 개발하는데 힘쓰는 사이클로 돌아가게 됩니다. 위 내용을 요약한게 바로 BCG matrix입니다.
BCG매트릭스의 특성
- 회사 내 여러 사업들을 시장성장률과 시장점유율이라는 두 변수를 양 축으로 하는 2차원 공간상에 표시하여 각 사업의 상대적 매력도를 비교
- 시장성장율: 시장(산업)매력도 측정
- 상대적 시장점유율: 사업의 경쟁적 강점 측정
- 원의 위치: 각 사업단위의 시장성장율과 상대적 시장점유율의 크기
- 원의 크기: 각 사업단위의 매출
1) 물음표 (question mark) 사업단위
- 높은 시장성장률과 낮은 상대적 시장점유율의 사업단위
- 시장점유율을 유지 · 증가시키는데 있어 많은 현금이 필요
- 경쟁력이 있는 사업단위는 시장점유율 증대를 위해 현금 지원하고 경쟁력이 낮은 사업단위
2) 개 (dog) 사업단위
- 낮은 시장성장률과 낮은 상대적 시장점유율의 사업단위
- 대체로 수익성이 낮고 시장전망이 어두움
3) 별(star) 사업단위
- 높은 시장성장률과 높은 상대적 시장점유율의 사업단위
- 자체사업을 통해 많은 현금을 벌어들이지만, 급속히 성장하는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유지 증대 시키기 위해 많은 자금 필요
4) 자금젖소(cash cow) 사업단위
- 낮은 시장성장률과 높은 상대적 시장점유율의 사업단위
- 낮은 투자지출로 인해 많은 이익을 벌어들임
- 기업의 다른 사업들에게 자금을 공급함
4가지 유형의 사업단위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전략
- 확대전략(build): 시장점유율 증가시킴, 사업을 확장하여 별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한 물음표에 적절
- 유지전략(hold): 현재의 시장점유율 유지, 많은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강한 자금젖소에 적절
- 수확전략(harvest): 사업단위의 현금흐름을 증가시킴, 장래가 어두운 약한 자금젖소나 물음표에 적절
- 철수전략(divest) : 사업단위를 처분,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문제아나 전망이 어두워 기존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는 것이 무의미한 개에 적절
기업예시(Facebook)
1) Question mark: Oculus
-미래기술이라고 불리는 VR/AR사업에 집중적으로 투자 중, 높은 성장율이 기대되지만 아직 성과를 보기는 어려운 상황
2) Star: Instagram
-꾸준히 많은 유저가 유입, 전 세계적으로 성장 중, 특별한 경쟁사 없는 것이 장점
3)Cash cow: Facebook
-기존의 많은 유저를 기반으로 광고 수익 창출 중(매출의 99%) 하지만 이전에 비해 성장성이 둔화되면서 유저 이탈 추세
4)Dog: Messenger
-분리되어 독립적인 메신저로 운영되고 있으나 WhatsApp에 비해 사용율도 낮고 성장성도 낮음
댓글